전체 글28 6-3. 전송 장애 전송 장애란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나 장애를 의미한다이러한 전송 장애는 크게 감세, 왜곡, 노이즈 등등으로 나눌 수 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앞에서 언급한 3가지를 위주로 배워보자 - 감쇠• 에너지의 손실을 의미• 매체를 통해 이동할 때 매체의 저항을 이겨내며 약간의 에너지가 손실되는 과정• 증폭기를 이용하여 신호를 다시 증폭 데시벨?• 입력에 대한 출력의 비• 신호의 손실된 길이나 획득한 길이를 보이기 위해 사용• 2개의 다른 점에서 두 신호 또는 하나의 신호의 상대적 길이를 측정• 음수가 나온다면 신호가 감쇠, 양수가 나온다면 증폭이다 p1, p2가 신호의 전력이라 할때 데시벨의 공식은 다음과 같다dB = 10 log10(p2/p1) ex) p2 = 1/2 p1이라면 데시벨은 다음과 같다10.. 2025. 4. 7. 6-2. 복합 아날로그 신호 -> 디지털 신호 이번 포스팅에서는 복합 아날로그 신호를 변환한 디지털 신호에 대해 알아보자 디지털 신호아날로그 신호와 같이 연속적인 값이 아닌 이산적인 값을 가지는 신호로 주로 0과 1의 형태로 표현된다 특징은 다음과 같다• 무한대의 주파수와 대역폭을 지님(하지만 실제로 무한대로 사용은 못함)• 기저 대역 전송과 광대역 전송으로 나뉨 **무한대의 주파수를 사용하지 못하는 이유**\1. 주파수와 대역폭이 너무 크면 문제가 발생하기에- 하드웨어와 전송 매체의 한계 + 전송 품질의 저하 등등의 이유이다 2. 이미 사용 중인 주파수 대역을 침범하지 않기 위해- 사용 가능한 주파수 자원은 한정적이기에 모든 통신 기기가 자유롭게 사용하면 충돌, 혼선 등의 문제가 생기기 때문이다 기저대역 전송과 광대역 전송 - 기저대역(base.. 2025. 3. 29. 6-2. 관계 연산자 관계대수는 릴레이션에서 데이터를 조회하고 조작하는 방법을 수학적으로 표현한 연산 체계이다연산자의 경우 크게 "순수 관계 연산자"와 "일반 집합 연산자"로 나뉜다. 순수 관계 연산자관계 데이터 모델을 위해 고안된 전용 연산자- 셀렉트(select)기호: σ표현: σ조건(R)의미: 릴레이션 R에서 조건을 만족하는 투플들을 반환* 조건식의 경우 비교연산자나 논리 연산자를 이요하여 작성 + 한 번에 여러 조건이 있을 때 순서를 바꾸어도 문제없음, 즉 우선순위가 없다! - 프로젝트(project)기호: π표현: π속성리스트(R)의미: 릴레이션 R에서 주어진 속성들의 값으로만 구성된 투플들을 반환 - 조인(join)기호: ⨝표현: R ⨝ S의미: 공통 속성을 이용해 릴레이션 R과 S의 투플들을 연결하여 만들어진.. 2025. 3. 29. 6-1. 관계대수 관계 데이터 모델은 데이터를 2차원 테이블 형태인 릴레이션으로 표현한다 말했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관계 데이터 모델을 중점으로 더 자세히 알아보자 그전에 핵심 내용을 다시 한번 간단히 보고 시작하자! 릴레이션 스키마• 릴레이션의 논리적 구조로 정적인 특징이 있다• 릴레이션의 이름과 릴레이션에 포함된 모든 속성 이름으로 정의한다 릴레이션 인스턴스• 어느 한 시점에 릴레이션에 존재하는 투플들의 집합이며 동적인 특징이 있다(투플은 행(row)한 줄이라 생각하면 된다) 즉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릴레이션 스키마의 모음, 데이터베이스 인스턴스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릴레이션 인스턴스의 모음이다. 관계 데이터 연산Relational Operations, 관계 데이터 모델에서 릴레이션(테이블).. 2025. 3. 28. 6-1. 데이터(신호) 데이터는 아날로그 데이터와 디지털 데이터가 있다아날로그는 음성, 온도, 시간 등의 연속적인 값을 가지는 데이터이며 디지털 데이터는 불연속적인 값을 가지는 데이터이다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식인 신호를 살펴보면아날로그 신호는 연속적인 파형을, 디지털 신호는 이산적으로 1과 0 같은 제한된 수의 정의된 값만을 가질 수 있다 아날로그 신호앞서 말했듯 아날로그 신호는 연속적인 값을 가지는 데이터이다.이러한 아날로그 신호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자 - 주기 아날로그 신호• 주기란 아날로그 신호가 한 번 완전히 반복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한다 즉 한 사이클이 끝나고 다시 시작하기까지 걸리는 신호이다 • s는 순간 진폭, A는 최대 진혹, f는 주파수, Φ(파이)는 위상, 주기는 T일 때 파장은 λ(람다),.. 2025. 3. 26. 5-2. TCP/IP 프로토콜 지난 글에서는 OSI모델에 관해 다뤘었다 좋은 모델이지만 여러 이유로 성공하지 못하였고 결국 최종적으로 쓰이는 것은 TCP/IP 프로토콜 그룹이다 오늘은 이 프로토콜 그룹에 대해 알아보겠다 OSI 모델과의 차이• OSI 모델과 비교했을 때 TCP/IP 프로토콜에는 세션층과 표현층이 없다 주소지정• 프로토콜 계층화와 관련하여 발신지와 목적지간 통신을 위해 4쌍의 주소를 사용한다또한 데이터 전송 시 각 계층마다 데이터의 명칭과 주소가 달라지므로 알아두자! TCP/IP 5 계층• Application layer(응용 계층)Packet name - Message Addresses - x • Transport layer(전송 계층)Packet name - Segment/User datagramAddress.. 2025. 3. 26. 이전 1 2 3 4 5 다음